Cent OS 5.4 Graphical Mode Install
1. 설치 시작
모드로 설치를 진행한다.
2. 설치 CD 이상 유무 확인
해당 설치 CD 이상 유무를 확인하게 된다.
3. 그래픽 모드 설치 초기 화면
4. 언어 선택
5. 키보드 타입 선택
터미널에서 [system-config-keyboard]를 실행하면 키보드 설정을 할 수가 있다.
6. 파티션 설정
파티션 설정 전 기본 파티션이 없는 하드 디스크 일 경우 위와 같은 경고 문구가 나오게 된다ㅣ.
"예(Y)"를 선택하고 하드 디스크를 초기화 한다.
6.1 파티션 설정
파티션 설정 종류
① 선택한 드라이브 상의 모든 파티션을 삭제하고 디폴트 레이아웃을 만듭니다. - 기존 하드디스크에 있는 모든 파티션을 삭제하고 디폴트 레이아웃을 만든다. ② 선택한 드라이브 상의 리눅스 파티션을 삭제하고 디폴트 레이아웃을 만듭니다. - 기존 하드디스크에 있는 리눅스 파티션만 삭제하고(다른 OS는 삭제되지 않음) 디폴트 레이아웃을 만든다. ③ 선택한 드라이브의 여유 공간에서 디폴트 레이아웃을 만듭니다. - 기존 하드디스크의 파티션과 데이터를 남겨두고 여유 공간을 이용하여 디폴트 레이아웃을 만든다. ④ 사용자 레이아웃 만들기 -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파티션을 구성 할 수 있다. |
6.2 파티션 설정
드라이브의 장치명과 총 용량 확인이 가능하다. "새로 생성"을 클릭하여 파티션 구성을 한다.
6.3 파티션 설정
추가 용량 옵션에는 "고정 용량"을 선택한다.
다음 파티션 추가에서는 원하는 파티션을 생성한다.
/home, /backup, /data등 설정이 필요한 만큼 마운트 지점에 입력 후 용량을 입력 후 설정을 완료 한다.
파일시스템 유형과 시작,끝도 참조를 한다. 추후 디스크 추가 시에 유형에 유의 하여 작업을 진행을 한다.
7. 부트로더 설정
- 부트로더인 GRUB(GRand Unified Bootloader) 설정이다. 특이 사항 없을 시 기본으로 설정을 한다.
8. 네트워크 설정
- 설치 프로그램이 시스템의 네트워크 장치를 자동으로 검색하여 화면에 표시된다. 장치가 없을 경우
해당 화면은 나오지 않고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DHCP를 이용할 경우는 해당 사항이 없지만, 할당 IP가 있을 경우 "편집"을 클릭하여 설정을 한다.
① Enable IPv4 support 체크 ② Manual configuration 선택 후 IP Address / Netmask 입력 ③ Enable IPv6 support 체크 해제 |
9. 시간 설정
★ 대부분의 국가는 국가별로 고유한 표준시를 사용하기 있다. 우리나라는 UTC가 아닌 대한민국 표준시에
맞춰져 있기 때문에 "시스템의 시간을 UTC에 맞춤"을 선택하지 않는 것이 좋다.
대한민국 표준시로 동기화를 할 수도 있으며, 설치 완료 후 터미널에서 [rdate -s time.bora.net]로
설정한다.
10. root 암호 설정
11. 패키지 선택
① Desktop-Gnome : 데스크탑 환경인 Gnome을 설치 한다. ② Desktop-KDE : 데스크탑 환경인 KDE를 설치 한다. ③ Server : 서버 관련 패키지를 설치 한다. ④ Server-GUI : 그래픽으로 서버를 설정 할 수 있는 툴을 설치 한다. |
추후 추가 할 수 있지만 설치 과정에서 미리 설치하는 것이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지금 사용자 설정"으로 세부 패키지를 선택하여 설치를 진행한다.
12. 설치 파일 복사
13. 설치 진행 과정
14. 설치 완료 및 재부팅
15. 설정 에이전트
16. 방화벽 설정
17. SELinux(Security Enhanced Linux)
18. 날짜 및 시간
19. 사용자 생성
설치 후에 [useradd] 이용하여 사용자 생성이 가능하다.
20. 사운드 카드 설정
21. 추가 CD
22. 재부팅
23. 설치 완료
생성한 사용자나 root 사용자로 로그인이 가능하다.
'Linux > CentOS & RH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격증] LPI 사이트 가입(시험대비) (0) | 2010.07.27 |
---|---|
[자격증] LPIC 자격증 (0) | 2010.04.13 |
[Tip] 네트워크 관리 및 추가 (0) | 2010.04.09 |
[Tip] Fedora 12 X-window root 로그인 (0) | 2010.04.08 |
[Tip] 리눅스 시스템 종료 및 재실행 (0) | 2010.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