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nsnames.ora 파일 설정 방법입니다. 아래의 내용을 복사하셔서 사용하셔도 됩니다.
AAA 는 TNSname 변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sqlplus ID/PW@AAA 이렇게 접속하게 되는데 실제 접속해야 할 SID 네임(BBB) 대신 다른 변수명으로
사용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AAA 와 BBB 부분을 같은 이름으로 맞춰주셔도 됩니다.
HOST 부분의 xx.xx.xx.xx 에 DB Server의 아이피 주소를 적어주시면 되고,
BBB 라고 적힌부분에 DB의 SID 값을 넣어주시면 됩니다.
----------------------------------------------------------------------------------------------------------------
# tnsnames.ora Network Configuration File: /tnsnames.ora
# Generated by Oracle configuration tools.
AAA =
(DESCRIPTION =
(ADDRESS = (PROTOCOL = TCP)(HOST=xx.xx.xx.xx)(PORT = 1521))
(CONNECT_DATA =
(SERVICE_NAME = BBB)
)
)
-----------------------------------------------------------------------------------------------------------------
listener.ora 파일 설정 방법입니다.
BBB 에는 DB서버의 SID 값
/oracleHome 에는 오라클 홈디렉토리
xx.xx.xx.xx 는 DB 서버의 IP 를 넣어주시면 됩니다.
-----------------------------------------------------------------------------------------------------------------
# listener.ora Network Configuration File: /listener.ora
# Generated by Oracle configuration tools.
SID_LIST_LISTENER =
(SID_LIST =
(SID_DESC =
(SID_NAME = BBB)
(ORACLE_HOME = /oralceHome)
)
)
LISTENER =
(DESCRIPTION_LIST =
(DESCRIPTION =
(ADDRESS = (PROTOCOL = TCP)(HOST = xx.xx.xx.xx)(PORT = 1521))
)
)
========================================================================================================================
By 맹호 브라덜~
'Database > Ora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acle] DB Link 설정 (0) | 2020.11.06 |
---|---|
[Install] CentOS 6.x / RHEL6.x Oracle10g 설치 시 Error (0) | 2020.07.18 |
[Install] CentOS 7.x 및 Oracle 11g 설치 관련 (0) | 2020.07.18 |
[Tip] UNDO Full 발생 시 (0) | 2010.03.18 |
[Tip] Oracle 계정 Lock 해제 (0) | 2010.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