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4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bin/ksh
#
# TITLE  : SYSTEM MONITORING TOOL
# AUTHOR : BAIK SEUNG SUK 
#
#

export LANG=C

{

echo ""
echo "### GENERAL INFORMATION ### "
echo "---------------------------------------------"
echo "호스트 이름은 `hostname`입니다                    "
echo "OS버젼은 `uname -r`이며, OBP버젼은 `prtconf -V|awk '{print $2}'`입니다"
echo "현재 OS패치 버젼은 `uname -v`입니다"
echo "---------------------------------------------"
echo ""
echo "### HARDWARE INFORMATION ### "
echo "---------------------------------------------"
echo "CPU    정보 : `psrinfo -v | grep -i MHz | awk '{print $6}' |head -1`Mhz 입니다"
echo "CPU    갯수 : `psrinfo |wc -l |awk '{print $1}'` "
echo "KERNEL 정보 : `isainfo -kv |head -1 |  awk  '{print $1}'`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echo "MEMORY 정보 : `prtconf -v | grep Memory | awk '{print $3 $4}' |head -1`입니다"
echo ""
echo "=DISK 정보="
iostat -E|grep -i Errors
echo "---------------------------------------------"
echo ""
echo "### NETWORK INFORMATION ### "
echo "---------------------------------------------"
echo "인터페이스 `ifconfig -a|grep -v lo0 |grep -v 127.0.0.1|head -1|awk '{print $1}'|cut -d":" -f1
` 사용 "
echo "IP ADDRESS : `ifconfig -a|grep -v lo0 |grep -v 127.0.0.1| grep -i inet | awk '{print $2}'`"
echo "NETMASK : `ifconfig -a|grep -v lo0 |grep -v 127.0.0.1| grep -i inet | awk '{print $4}'`"
echo "GATEWAY : `netstat -rn|grep -i default |awk '{print $2}'`"
echo "----------------------------------------------"
echo ""
echo "### UPTIME INFORMATION ### "
echo "----------------------------------------------"
uptime
echo "----------------------------------------------"
echo ""
echo "### FILESYSTEM INFORMATION ### "
echo "----------------------------------------------"
echo "`df -k | awk '/dev/md/ || /dev/dsk/ {print $1,$5,$6}'`"
echo "----------------------------------------------"
echo ""
echo "### OBP PARAMETER ###"
echo "----------------------------------------------"
/usr/sbin/eeprom
echo "----------------------------------------------"
echo ""
echo "### IPC INFORMATION ###"
echo "----------------------------------------------"
echo "IPCs Status"
/usr/bin/ipcs -a
echo "----------------------------------------------"
echo ""
echo "### PROCESS INFORMATION ###"
echo "----------------------------------------------"
/usr/ucb/ps -aux
echo "----------------------------------------------"
echo ""
echo "### APPLY PATCH INFORMATION ###"
echo "----------------------------------------------"
/usr/bin/showrev -p | awk '{print $1 $2}'
echo "----------------------------------------------"

} | tee `hostname`.txt

 


 

Posted by 짜꾸미의골골몽
|

#################### AIX ####################
rpm -Uvh 패키지명
rpm -qa | grep 패키지명
lslpp -L | grep 패키지명

 

#################### Solaris ####################
pkgadd -d 패키지명
pkgchk -l 패키지명 // 설치된 파일들에 대한 자세한 정보 제공
pkgchk -v 패키지명 // 검사한 파일의 리스트를 제공
pkginfo -l 패키지명 // 패키지 정보 출력

Posted by 짜꾸미의골골몽
|

http://hpux.connect.org.uk (비공식)
- HP-UX 패키지 다운로드 사이트

www.software.hp.com (공식 HP s/w 배포처)

 



 

'Unix > HP-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p] HP-UX JDK 설치 관련(java)  (0) 2020.07.20
[Tip] HP-UX TCP 세션 클리어  (0) 2020.07.19
[Tip] HP-UX 시스템 사양 확인  (0) 2010.10.01
[Tip] HP-UX Performance 확인  (0) 2010.10.01
[Tip] ftp 로그인 문제 해결  (0) 2010.10.01
Posted by 짜꾸미의골골몽
|

HP-UX 시스템 사양 확인


1) SAM 실행
2) Performance Monitors 선택
3) System properties 선택
4) Tab 키를 이용한 필요한 데이터 확인

'Unix > HP-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p] HP-UX TCP 세션 클리어  (0) 2020.07.19
[Tip] HP-UX 참고 사이트  (0) 2010.10.01
[Tip] HP-UX Performance 확인  (0) 2010.10.01
[Tip] ftp 로그인 문제 해결  (0) 2010.10.01
[Tip] 이더넷 설정 확인  (0) 2010.10.01
Posted by 짜꾸미의골골몽
|

* HP-ux용 공개프로그램 구하기

http://hpux.connect.org.uk (비공식)

tusc (특정 process system call을 추적)

www.software.hp.com (공식 HP s/w 배포처)

 

-------------------------------------------------

 

- CPU Util : 전체 CPU Core의 사용량 평균

- Disk Util : 가장 바쁜 디스크의 사용량

- Mem Util :

- Swap Util : U (실세사용량) / R (예약공간)

 

? : Hot Key List

g : 초기화면, process list

W : 특정 PID 상세정보

B : Global Wait States

a : Processor 사용목록

o : Option 설정

 

* option 설정값이 저장되는 곳 : /.glancerc_hp 파일

  이것을 삭제하면 설정값이 초기값으로 복귀된다.

 

* Process 우선순위

S : 커널

R : real time process (최강)

A : anti nice (강함 nice 0~19)

U : normal (nice=20)

N : nice (positive nice 21~39) 약한값

( nice : process sleep이후 회복주기값, 작을수록 빨리 회복함, 기본값 20, TOP NI )

 

---------------------------

 

glance, PA에서 Application 정의하기

vi /var/opt/perf/parm

에서 application = network 보다 앞쪽에 추가

 

applicaion = WWW

file = httpd

or

user = www

 

glance 에서 A -> applicaion list 그리고 S -> 특정application 선택

 

---------------------------------

 

* glance 를 백그라운드로 실행하여 파일로 떨구기

echo 'print gbl_stattime, " runq=", gbl_run_queue' > temp

glance -aos ./temp -j 60 > outfile &

 

-> temp 파일을 설정파일로 하여 입력받고 60초마다 수행하여 outfile로 떨군다

-> -aos : adviser only syntax

 

문법 : /var/opt/perf/adviser.syntax

항목 : /opt/perf/paperdocs/gp/C/gp-metrics.txt

 

------------------------------------

* priority 변경하기

renice -n -10 pid -> 절대기준치 20에 대한 변화값

----------------------------------------

* PA/PM의 용어변천사

mwq -> ovpa -> PA

pv(perfview) -> OVPM -> PM

------------------------------------------

* tusc

시스템콜을 추적하는 프로그램

/usr/loca/bin/tusc pid

------------------------------------------

* caliper

http://www.hp.com/go/caliper

---------------------------------------------

hostname

uname -a

swlist | grep OE : 설치된 SW 목록

swlist -i : 메뉴형식으로 설치된 SW 목록보여주기

netstat -in : 설정된 IP 목록

ifconfig XXX : NIC카드 상세정보

nwmgr

lanscan

ioscan -funNC disk

ioscan -funC disk

machinfo

------------------------------------------------

 * PA 성능 로그 추출하기

cd /var/opt/perf

vi reptfile (ascii, wk1(엑셀용)으로 report 양식 추출)

 

1. 고유 data 형식으로 추출

extract -> guide -> enter -> extract -> enter -> d 여러번 입력 -> enter -> enter -> enter ->

 

2. ascii, execl report로 추출

extract -> guide -> enter -> export -> enter - enter - d,d,d,d,d,d, - enter - enter

각각 항목별로 통계치를 추출한다.

ascii 파일 확장자는 asc, 엑셀 파일 확장자는 wk1

 

추출된 파일을 PM 이나 엑셀로 분석한다.

[출처] HP-UX Performance 확인|작성자 Dalph

 


'Unix > HP-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p] HP-UX 참고 사이트  (0) 2010.10.01
[Tip] HP-UX 시스템 사양 확인  (0) 2010.10.01
[Tip] ftp 로그인 문제 해결  (0) 2010.10.01
[Tip] 이더넷 설정 확인  (0) 2010.10.01
[Tip] ps 명령 -o 옵션 사용하기  (0) 2010.10.01
Posted by 짜꾸미의골골몽
|
 

#!/usr/bin/ksh

trap 'echo " deleting tmp file " ; rm -f "/tmp/item" "$logdir/mon/tmp_file" "$logdir/mon/proc_list" ' EXIT

 

# define log file name

logdir="./mon"

 

#delete proc list

rm -rf "$logdir/mon"

mkdir -p "$logdir"

mkdir -p "$logdir/mon"

 

 

# generate process list

 

case `uname -s` in

AIX)

ps -e -o "user,pcpu,vsz,comm" | grep -v "<" | grep -v "ps" | grep -v "USER" | grep -v "grep" > "$logdir/mon/proc_list"

;;

Linux)

ps -e -p "user,pcpu,vsz,comm" | grep -v "<" | grep -v "ps" | grep -v "USER" | grep -v "grep" > "$logdir/mon/proc_list"

;;

HP-UX)

ps -e -o "user,pcpu,vsz,comm" | grep -v "<" | grep -v "ps" | grep -v "USER" | grep -v "grep" > "$logdir/mon/proc_list"

;;

SunOS)

ps -e -o "user,pcpu,vsz,comm" | grep -v "<" | grep -v "ps" | grep -v "USER" | grep -v "grep" > "$logdir/mon/proc_list"

;;

esac

 

 

case "$1" in

-user)

mon_file="$logdir/`hostname`_user_status_`date +%y%m%d`.log"

awk '{print $1}' "$logdir/mon/proc_list" | sort | uniq | while read line

 do

 echo "$line" > "/tmp/item"

 grep "$line" "$logdir/mon/proc_list" | awk 'BEGIN{cpu=0;mem=0;cpu_sum=0;mem_sum=0;getline d < "/tmp/item"}

 {

  cpu=$2;

  mem=$3;

  cpu_sum=cpu_sum+cpu;

  mem_sum=mem_sum+mem;

 }

 END{

  printf("%s %2.1f %2.1f\n",d,cpu_sum,mem_sum);

 }' >> "$logdir/mon/tmp_file"

 done

;;

 

-proc)

mon_file="$logdir/`hostname`_ps_status_`date +%y%m%d`.log"

awk '{print $4}' "$logdir/mon/proc_list" | sort | uniq | while read line

 do

 echo "$line" > "/tmp/item"

 grep "$line" "$logdir/mon/proc_list" | awk 'BEGIN{cpu=0;mem=0;cpu_sum=0;mem_sum=0;getline d < "/tmp/item"}

 {

  cpu=$2;

  mem=$3;

  cpu_sum=cpu_sum+cpu;

  mem_sum=mem_sum+mem;

 }

 END{

  printf("%s %2.1f %2.1f\n", d,cpu_sum,mem_sum);

 }' >> "$logdir/mon/tmp_file"

 done

;;

 

*)

echo "please enter the right option [-user:-proc]"

exit 0

;;

esac

 

# print log file

sort -rnk 2 "$logdir/mon/tmp_file"|awk 'BEGIN{"date +%H%M%S"| getline d}{if (length($1)!=100) print d" "$0}' >> "$mon_file"

echo "" >> "$mon_file"


Posted by 짜꾸미의골골몽
|
 

증상 : 일부 또는 모든 사용자가 HP-UX 시스템에 ftp를 수행할 수 없습니다.

 

 

1.사전 점검

(1) 주어진 시스템에 ftp를 실행할 수 있는 사용자가 없으면 우선 시스템에서 inetd가 실행 중인지 확인합니다.

 

$ ps -ef | grep inetd

 

 

실행 중이 아니면 inetd를 시작합니다.

 

$ /usr/sbin/inetd

 

 

(2) ftp 서비스가 해제되어 있을 수도 있습니다. /etc/inetd.conf에서 다음 줄을 확인합니다.

 

ftp stream tcp nowait root /usr/lbin/ftpd ftpd -l

 

 

이 줄이 없거나 주석 처리가 되어 있으면(파운드 기호(#)가 앞에 있으면) 이 줄을 추가하고(또는 파운드 기호를 제거하고) inetd를 다시 시작합니다.

 

/usr/sbin/inetd -c

 

 

(3) SAM을 사용하여 ftp의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Networking and Communications/Network Services로 이동합니다.

 

1.문제 해결

 

ftp는 기본적으로 고정 목록에 대해 암호 정보(즉, 로그인하려는 사용자에 대한 /etc/passwd의 항목)를 확인하는 getusershell을 호출합니다. 이 쉘이 목록에 없으면 ftp는 사용자가 들어오지 못하게 하므로 자체 시스템에도 ftp를 수행하지 못할 수 있는 비정상적인 쉘을 사용하게 됩니다.

 

 

getusershell 은 /etc/shells 파일을 참조하는데, 만약 /etc/shells 파일이 없거나 읽을 수 없는 상태라면 아래와 같은 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쉘을 리턴합니다.

 

/sbin/sh

 

/usr/bin/sh

 

/usr/bin/rsh

 

/usr/bin/ksh

 

/usr/bin/rksh

 

/usr/bin/csh

 

/usr/bin/keysh

 

 

 

(1) 해결1

 

/etc/passwd 에서 해당 계정의 쉘을 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쉘로 혹은 /etc/shells 에 있는 쉘로 수정


'Unix > HP-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p] HP-UX 참고 사이트  (0) 2010.10.01
[Tip] HP-UX 시스템 사양 확인  (0) 2010.10.01
[Tip] HP-UX Performance 확인  (0) 2010.10.01
[Tip] 이더넷 설정 확인  (0) 2010.10.01
[Tip] ps 명령 -o 옵션 사용하기  (0) 2010.10.01
Posted by 짜꾸미의골골몽
|
 

1.IP 주소를 사용하여 LAN 카드를 표시

$ netstat -in

 

1.각 인터페이스에 대해 ifconfig를 실행하여 올바른 IP, 넷마스크 및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확인

lan0로 예를 들면

 

$ ifconfig lan0


'Unix > HP-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p] HP-UX 참고 사이트  (0) 2010.10.01
[Tip] HP-UX 시스템 사양 확인  (0) 2010.10.01
[Tip] HP-UX Performance 확인  (0) 2010.10.01
[Tip] ftp 로그인 문제 해결  (0) 2010.10.01
[Tip] ps 명령 -o 옵션 사용하기  (0) 2010.10.01
Posted by 짜꾸미의골골몽
|
 

HP-UX 는 ps에서 -o 옵션을 사용하려면 UNIX95 환경 변수를 설정해야 한다.

 

setenv UNIX95 1

 

또는

 

export UNIX95=1

 

Example)

 

        ps -p 프로스세번호 -o pcpu -o time -o etime -o vsz

 

* UNIX95 의 의미.

 

UNIX95 branded product 는 hpux 10.20 혹은 이후의 버전들을 지칭한다.

 

UNIX95 branded product 는 XPG4(X/Open Portability Guide, Issue 4) system calls,

 

POSIX callable interfaces,ISO C library 와 같은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며,

 

UNIX95 환경변수를 지정할 경우 특정 명령어의 경우 HPUX 환경이 아닌 XPG4 환경하에서 동작하도록 되어있다.


'Unix > HP-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p] HP-UX 참고 사이트  (0) 2010.10.01
[Tip] HP-UX 시스템 사양 확인  (0) 2010.10.01
[Tip] HP-UX Performance 확인  (0) 2010.10.01
[Tip] ftp 로그인 문제 해결  (0) 2010.10.01
[Tip] 이더넷 설정 확인  (0) 2010.10.01
Posted by 짜꾸미의골골몽
|


1. 리눅스시스템 종료하기
    - halt
    - poweroff
    - init 0
    - shutdown -h now

  2. 리눅스시스템 재실행하기
    - reboot
    - init 6
    - shutdown -r now

 3. 시스템종료에 관한 정보 확인하기
    - /var/log/wtmp 파일 확인
    - /var/log/dmesg 파일 확인
    - dmesg

 4. shutdown 명령어
    - shutdown -r now : 즉시 재부팅
    - shutdown -h now : 즉시 종료
    - shutdown -r +분 메세지  :  메세지를 보여주고 5분후에 재부팅
    - shutdown -h +분 메세지  :  메세지를 보여주고 5분후에 종료
    - shutdown -r 시:분 메세지  :  메세지를 보여주고 시:분에 재부팅
    - shutdown -h 시:분 메세지  :  메세지를 보여주고 시:분에 종료

 

Posted by 짜꾸미의골골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