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4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AIX 점검 명령어

CPU - 수량 및 사용 가능상태 확인
lsdev -Cc processor Processor 수량 및 Available 한 가용상태 확인

CPU - CPU의 병목 여부 파악
sar Processor 별로 사용률 점검
vmstat processor 의 used, idle, wait 등을 파악
topas processor load average 를 검토
bindprocessor processor bind 의 존재여부 확인 및 필요 시 binding

Memory - 수량 및 사용 가능상태 확인
lsdev -Cc Memory memory(Card)수량 및 Available 한 가용상태 확인
lsattr -El mem(n) 메모리 타입 및 Size 확인

Disk - 수량 및 사용 가능상태 확인
lsdev -Cc disk disk 수량 및 Available 한 가용상태 확인
lspv 디스크 할당 상태 확인
lspv hdisk(n) 디스크 할당 상태 및 가용 Size 확인

Adapter - 구성된 종류 및 수량, 가용상태 확인
lsdev-Cc adapter adapter 별 Available 한 가용상태 확인
diag 구성 장치들의 문제점 진단

Log 점검 - 오류에 대한 로그 및 시스템에 설정된 로그파일 확인
errpt System 에서 발생된 기본적인 로그를 확인하고 Class:H (Hardware)와 type:P(PEND, PERF, PERM) 부분의 발생여부 중점으로 점검
vi /var/spool/mail/root root 메일을 점검하여 관리자에게 통지된 에러 확인
find / -name core core 파일 생성 여부 확인

Memory - Memory의 과부하 여부 파악
vmstat 충분한 Free memory가 있는지 확인하고 paging in, out 여부를 파악하여 Memory의 병목 여부 판단.
lsps Paging 공간의 사용률을 파악하여 메모리 병목 판단에 활용
topas Memory의 caching 사용여부와 사용률을 파악
ps aux 프로세스 별로 메모리 사용률 파악
svmon 프로세스 사용률 순 또는 Memory 사용률에 따른 순서로 상세한 사용에 대한 세부 내역파악.

[출처] AIX 점검 명령어 |작성자 보람


 

'Unix > AIX'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p] AIX JDK 설치 방법  (0) 2020.07.19
[Tip] AIX 파일 시스템 추가  (0) 2010.10.11
[Tip] AIX VNC 설정  (0) 2010.04.08
[AIX] OS 패치  (0) 2010.03.16
[AIX] OS 패치 사이트 및 방법  (0) 2010.03.16
Posted by 짜꾸미의골골몽
|

[Tip] AIX VNC 설정

Unix/AIX 2010. 4. 8. 11:48

1. rpm -Uhv 파일명.rpm 설치
2. /usr/bin/X11/vncpasswd -> 패스워드 설정
3. vi /usr/bin/X11/vncserver 열고 아래와 같이 추가

########################################################################################
# Add font path and color database stuff here, e.g.:
#
# $cmd .= " -fp /usr/lib/X11/fonts/misc/,/usr/lib/X11/fonts/75dpi/";
# $cmd .= " -co /usr/lib/X11/rgb";
#
$cmd .= " -fp /usr/lib/X11/fonts/,/usr/lib/X11/fonts/misc/,/usr/lib/X11/fonts/75dpi/";

$cmd .= " -fp /usr/lib/X11/fonts/,/usr/lib/X11/fonts/misc/,/usr/lib/X11/fonts/75dpi/";
########################################################################################

4. /usr/bin/X11/vncserver 실행 후 port 확인
5. VNC Viewer로 접속 시
    해당서버IP:포트번호로 접속 - xx.xx.xx.xx:5901

'Unix > AIX'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p] AIX JDK 설치 방법  (0) 2020.07.19
[Tip] AIX 파일 시스템 추가  (0) 2010.10.11
[Tip] AIX 점검 명령어  (0) 2010.04.08
[AIX] OS 패치  (0) 2010.03.16
[AIX] OS 패치 사이트 및 방법  (0) 2010.03.16
Posted by 짜꾸미의골골몽
|
Posted by 짜꾸미의골골몽
|

Solaris Disk Partition

1.

# format

 Searching for disks...done

AVAILABLE DISK SELECTIONS:

       0. c0t0d0 <SUN18G cyl 7506 alt 2 hd 19 sec 248>

          /pci@1f,4000/scsi@3/sd@0,0

1. c1t0d0 <SUN18G cyl 7506 alt 2 hd 19 sec 248>

          /pci@1f,4000/scsi@3/sd@0,0

Specify disk (enter its number):

 

2.

  Specify disk (enter its number): 1

selecting c1t0d0

[disk formatted]

Warning: Current Disk has mounted partitions.

FORMAT MENU:

        disk       - select a disk

        type       - select (define) a disk type

        partition  - select (define) a partition table

        current    - describe the current disk

        format     - format and analyze the disk

        repair     - repair a defective sector

        label      - write label to the disk

        analyze    - surface analysis

        defect     - defect list management

        backup     - search for backup labels

        verify     - read and display labels

        save       - save new disk/partition definitions

        inquiry    - show vendor, product and revision

        volname    - set 8-character volume name

        !<cmd>     - execute <cmd>, then return

        quit

format>

3.

  format> p or partition

PARTITION MENU:

        0      - change `0' partition

        1      - change `1' partition

        2      - change `2' partition

        3      - change `3' partition

        4      - change `4' partition

        5      - change `5' partition

        6      - change `6' partition

        7      - change `7' partition

        select - select a predefined table

        modify - modify a predefined partition table

        name   - name the current table

        print  - display the current table

        label  - write partition map and label to the disk

        !<cmd> - execute <cmd>, then return

        quit

partition>

 

4.

  partition> p or print

Current partition table (original):

Total disk cylinders available: 7506 + 2 (reserved cylinders)

 

Part      Tag    Flag     Cylinders        Size            Blocks

   0       root    wm       0 - 3042        6.84GB    (3043/0/0) 14338616

   1       swap    wu    3043 - 3912        1.95GB    (870/0/0)   4099440

   2     backup    wm       0 - 7505       16.86GB    (7506/0/0) 35368272

   3 unassigned    wm    3913 - 4900        2.00GB    (3593/0/0) 16930216

   4 unassigned    wm       0               0         (0/0/0)           0

   5 unassigned    wm       0               0         (0/0/0)           0

   6 unassigned    wm       0               0         (0/0/0)           0

   7 unassigned    wm       0               0         (0/0/0)           0

partition>

 

Posted by 짜꾸미의골골몽
|

# init 0
위 명령어는 시스템을 run level 0로 전환시킨다. /etc/rc0.d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모든 서비스와 데몬을 종료하고 
시스템을 PROM 모드로 전환한다.

# init 5
run level 5로 시스템을 전환한다. /etc/rc0.d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모든 서비스와 데몬을 종료하고 시스템을 Power off 시킨다.

# init 6
run level 6로 시스템을 전환한다. /etc/rc0.d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모든 서비스와 데몬을 종료하고 시스템을 재부팅한다.
이때 시스템은 PROM 모드 까지 내려 갔다가 다시 올라온다.

# reboot
시스템을 재부팅한다. /etc/rc0.d 스크립트는 실행하지 않고 시스템을 재부팅 한다.

# shutdown -i5 -y
시스템 사용자에게 시스템 종료를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60초뒤에 시스템을 종료한다.
-i
옵션은 run level을 설정하는 옵션으로 위 예제 에서는 run level 5로 시스템을 전환한다.
, 시스템을 Power off 시킨다. -y 옵션은 시스템을 종료할 때 나오는 모든 질문에 yes로 대답하라는 것이다.
-i 옵션을 지정해 주지 않으면 shutdown 명령어은 디폴트인 Single user mode로 시스템을 전환시킨다.

# halt
시스템을 PROM 모드로 바로 전환한다. /etc/rc0.d 스크립트는 실행하지 않는다.

# poweroff
시스템을 바로 Power off 시킨다.

# shutdown -y -g0 -i5
shutdown -y -g0 -i5 (waitting time = 0) -i5 (power off) -i6 (reboot)
대기 시간을 가지지 않고, 시스템 Power Off
-y 옵션은 시스템을 종료할 때 나오는 모든 질문에 yes로 대답하라는 것이다.

# shutdown -y -g0 -i6
shutdown -y -g0 -i6 (waitting time = 0) -i5 (power off) -i6 (reboot)
대기 시간을 가지지 않고, 시스템 재부팅
-y 옵션은 시스템을 종료할 때 나오는 모든 질문에 yes로 대답하라는 것이다.


Posted by 짜꾸미의골골몽
|

Solaris 10 telnet, ftp 사용하기

최초 설치 시 /etc/default/login 설정 파일 수정

# vi /etc/default/login
CONSOLE=/dev/console  <-  해당 부분 주석 처리

inet의 상태를 확인해 

#svcs -x svc:/network/inetd:default 로

서비스상태 확인

# svcs -xv telnet

svc:/network/telnet:default (Telnet server)
State: uninitialized since Tue Apr 17 00:30:45 2007
Reason:  Restarter svc:/network/inetd:default is  not running
Impact: This service is not running.

telnet enable
#svcadm enable telnet

solaris는 기본 ftp/telnet package가 설치되어있습니다.
초기 설치시 root user는 보안상 ftp/telnet이 막혀 있습니다.

일반 user는 상관 없구요.

root을 이용해서 ftp/telnet을 사용하셔야 한다면,
#vi /etc/ftpd/ftpusers -> 파일을 open하셔서 'root'부분을 주석처리 하세요.
#vi /etc/default/login -> 파일을 open하셔서 "CONSOLE'부분을 주석처리 하세요.
 
서비스상태 확인
# svcs -xv ftp

ftp enable
#svcadm enable ftp


 

Posted by 짜꾸미의골골몽
|

1. 리눅스시스템 종료하기
    - halt
    - poweroff
    - init 0
    - shutdown -h now

  2. 리눅스시스템 재실행하기
    - reboot
    - init 6
    - shutdown -r now

 3. 시스템종료에 관한 정보 확인하기
    - /var/log/wtmp 파일 확인
    - /var/log/dmesg 파일 확인
    - dmesg

 4. shutdown 명령어
    - shutdown -r now : 즉시 재부팅
    - shutdown -h now : 즉시 종료
    - shutdown -r +분 메세지  :  메세지를 보여주고 5분후에 재부팅
    - shutdown -h +분 메세지  :  메세지를 보여주고 5분후에 종료
    - shutdown -r 시:분 메세지  :  메세지를 보여주고 시:분에 재부팅
    - shutdown -h 시:분 메세지  :  메세지를 보여주고 시:분에 종료

Posted by 짜꾸미의골골몽
|

CREATE  UNDO TABLESPACE "UNDOTBS2" DATAFILE '/oradata/undotbs02.dbf' SIZE 10M;   
- undotbs02번 생성

 
ALTER SYSTEM SET UNDO_TABLESPACE=UNDOTBS2; 
- 기본 undo 테이블을 unodtbs2로 변경


DROP TABLESPACE UNDOTBS1 INCLUDING CONTENTS AND DATAFILES;
- undotbs1 테이블 삭제


CREATE  UNDO TABLESPACE "UNDOTBS1" DATAFILE '/oradata/undotbs01.dbf' SIZE 500M;
- undotbs01번 생성


ALTER SYSTEM SET UNDO_TABLESPACE=UNDOTBS1;
- 기본 undo 테이블을 unodtbs1로 변경


DROP TABLESPACE UNDOTBS2 INCLUDING CONTENTS AND DATAFILES; 
- undotbs2 테이블 삭제

Posted by 짜꾸미의골골몽
|

####### system 계정 Lock 걸렸을 경우 #######
select * from dba_users;
- dba_users 테이블에서 해당 계정 lock 상태 확인

SELECT USERNAME, ACCOUNT_STATUS,
                     TO_CHAR(LOCK_DATE, 'YYYY-MM-DD HH24:MI') LOCK_DATE, PROFILE
          FROM DBA_USERS;
- 해당 쿼리로 상태 확인

select username, account_status from dba_users where username = '계정명';
- esm_hero 계정에 대한 lock 상태 확인

ALTER USER 계정 ACCOUNT UNLOCK;
- sysdba 접속 후 해당 계정 LOCK 해제

Posted by 짜꾸미의골골몽
|

tnsnames.ora 파일 설정 방법입니다. 아래의 내용을 복사하셔서 사용하셔도 됩니다.

AAA 는 TNSname 변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sqlplus ID/PW@AAA 이렇게 접속하게 되는데  실제 접속해야 할 SID 네임(BBB) 대신 다른 변수명으로

사용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AAA 와 BBB 부분을 같은 이름으로 맞춰주셔도 됩니다.

HOST 부분의 xx.xx.xx.xx 에 DB Server의 아이피 주소를 적어주시면 되고,
BBB 라고 적힌부분에 DB의 SID 값을 넣어주시면 됩니다.
----------------------------------------------------------------------------------------------------------------

# tnsnames.ora Network Configuration File: /tnsnames.ora
# Generated by Oracle configuration tools.
AAA =
  (DESCRIPTION =
      (ADDRESS = (PROTOCOL = TCP)(HOST=xx.xx.xx.xx)(PORT = 1521))
    (CONNECT_DATA =
      (SERVICE_NAME = BBB)
    )
  )
-----------------------------------------------------------------------------------------------------------------
listener.ora 파일 설정 방법입니다.

BBB 에는 DB서버의 SID 값

/oracleHome 에는 오라클 홈디렉토리

xx.xx.xx.xx 는 DB 서버의 IP 를 넣어주시면 됩니다.

-----------------------------------------------------------------------------------------------------------------

# listener.ora Network Configuration File: /listener.ora
# Generated by Oracle configuration tools.

SID_LIST_LISTENER =
  (SID_LIST =
    (SID_DESC =
      (SID_NAME = BBB)
      (ORACLE_HOME = /oralceHome)
    )
  )

LISTENER =
  (DESCRIPTION_LIST =
    (DESCRIPTION =
      (ADDRESS = (PROTOCOL = TCP)(HOST = xx.xx.xx.xx)(PORT = 1521))
    )
  )
========================================================================================================================
By 맹호 브라덜~

Posted by 짜꾸미의골골몽
|